레뷰 글로벌팀에서는마케팅 수신 동의한 광고주님들을 대상으로 따끈따끈한 해외 마케팅/해외 진출 관련 뉴스와 정보를 모은 <글로벌 마케팅 뉴스레터>를 격주로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레뷰는 글로벌 인플루언서 마케팅뿐만 아니라 글로벌 주요 사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면서 성공적인 글로벌 진출의 파트너가 되겠습니다😊
🌎오늘의 글로벌 뉴스
전 세계가 찾는 'K-뷰티' 해외시장이 먼저 움직인다
지난해 시장조사기관은 주요 20개국에 거주하는 15~79세 소비자 2만350명을 대상으로 뷰티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여기에서 1위를 기록한 것은 다름 아닌 ‘K-뷰티’다. 2023년 기준 전체 응답자의 28.2%는 K-뷰티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며 19.8%로 응답률 2위를 차지한 J-뷰티(일본 뷰티시장)와도 약 10%P(포인트) 격차가 벌어졌다.
높아진 K-뷰티의 위상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글로벌 소비자 4명 중 1명은 ‘K-뷰티’에 대해 알고 있다.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진행된 최근 5년 간의 조사에서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국가명이 붙은 뷰티 용어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K-뷰티는 부동의 ‘1위’를 지켜왔다.
성장을 거듭하는 수출 규모도 이를 증명한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화장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6.4% 증가한 84억9000만달러를 기록했다. 화장품 수출액은 2021년 92억2000만달러로 연간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가 이듬해 성장세가 일부 꺾였다. 주 수출국이었던 중국의 소비위축, 한한령과 애국소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하지만 지난해 한류 영향으로 다시 반등을 시작하면서 빠르게 활기를 되찾고 있다....
최근 동남아시아 대기업들이 잇따라 국내 기업 인수에 나서면서 투자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K프랜차이즈, K푸드, K컬처 등 한류 열풍 속에 동남아 자금의 공습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필리핀,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주요 국가들이 한국 인수·합병(M&A)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달 초 필리핀 식품업계 1위 기업인 졸리비가 한국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인 컴포즈커피를 인수한 것이 대표 사례다. 졸리비는 양재석 JM커피그룹 회장이 보유 중이던 컴포즈커피 지분 100% 중 70%를 약 3300억원에 인수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음식이나 화장품 등 K컬처를 동경하는 분위기가 있어 졸리비가 시장 평가보다 높은 가격에 과감히 베팅한 것 같다"며 "과거 한국 기업이 미국이나 유럽 기업 인수에 관심을 보였던 것과 비슷한 흐름"이라고 말했다.
국내 시장 확장 한계 속에 동남아 기업들의 관심이 돌파구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확대된다. 일본 기업은 자금이 많더라도 글로벌 진출에 적극적이지 않았지만 화교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 기업들은 해외 진출에 발 빠르게 나서는 모습이다.
틱톡코리아가 틱톡의 커머스 서비스 '틱톡샵'을 한국에서 출시할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미국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K콘텐츠와 K브랜드의 글로벌 진출을 돕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면서 틱톡 인플루언서의 수익 창출을 위해서도 노력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현재 한류가 숏폼 콘텐츠의 폭발적 증가에 힘입어 콘텐츠 측면에서 글로벌한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단계를 넘어, 2030년 약 1천980억달러(약 273조8천900억원)의 잠재력을 갖춘 한류 시장에서 한국 브랜드들이 해외사업 성공의 기회로 삼는 원년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틱톡코리아 손현호 GM은 틱톡샵이 국내진출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하면서도 틱톡샵을 통해 국내 기업이 해외 진출을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틱톡샵이 진출해있는 8개 국가에서 절반 이상 사용자가 틱톡샵에서 K푸드와 K뷰티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며 "제품과 정보를 발견해 검색하고 실제 구매까지 이어질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플랫폼의 특징에 기반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각광받으며 디지털 마케팅 전반에 근본적인 변화가 이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장대규 레뷰코퍼레이션 대표는 최근 숏폼 콘텐츠가 급격히 부상하는 한편 그 외 SNS 플랫폼 전반의 마케팅 역량도 골고루 커지고 있다는 분석을 내놔 눈길을 끈다. 나아가 인플루언서 마케팅 영역 중 하나인 커머스를 둘러싼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글로벌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본질은 '놀랍게도' 크게 다르지 않다는 메시지도 나왔다.
현재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끌고있는 버추얼 크리에이터 트렌드가 조만간 한국의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을 강타할 것이라는 과감한 전망도 눈길을 끈다. 여기에 제3자데이터(3rd party data) 추적이 불가능한 쿠키리스(cookieless) 등으로 촉발된 개인정보보호의 시대를 맞아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존재감이 배너광고는 물론 검색광고까지 상당부분 차지할 것이라는 도발적인 전망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레뷰코퍼레이션은 글로벌 인플루언서 마케팅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할 것"이라며 "단순한 마케팅을 넘어 인플루언서로 인해 파생되는 모든 비즈니스를 품는 톱 브랜드가 될 것"이라 강조했다.
물론 업력이 오래되신 분들에게, 인플루언서 마케팅 자체는 매우 익숙하실 겁니다. 하지만 알고리즘 기반의 채널인 틱톡과 릴스의 등장이래 이를 활용하는 방식도, 그리고 기대할 수 있는 효과도 완전히 달라졌다는 걸 알아야 이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과거의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그들이 보유한 팔로워를 겨냥한 거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초기에는 마이크로 인플루언서가 아닌, 메가 인플루언서 위주로 마케팅이 진행되곤 하였습니다. 디지털 광고와 소셜 미디어가 등장하기 전, 연예인 협찬과 다를 바가 없었던 거죠.